많은 분들이 착각하는 게 있습니다. 'AI 검색은 레딧을 선호한다', 'AI 검색은 위키피디아를 좋아한다' 는 등의 이야기입니다. 이러한 주장이 틀린 건 아닙니다. 하지만 중요한 조건 하나가 누락돼 있습니다. 어떤 프롬프트(사용자 질문)로 수집했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비어있습니다. 이 조건이 붙어있지 않은 상황에서 '어떤 사이트가 인용률이 높더라'라고 하는 건 데이터 왜곡으로 비칠 수가 있습니다. 오늘 사례를 블루닷 인텔리전스를 통해 소개해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Branded 프롬프트와 Unbranded 프롬프트 구분하기

AI검색최적화(GEO) 분석 및 액션 엔진 '블루닷 인텔리전스'는 최근 프롬프트 유형을 구분하는 메뉴를 추가했습니다. Branded(브랜드 포함) 프롬프트와 Unbranded(브랜드 없음) 프롬프트로 나누는 기능입니다. 브랜드 포함 프롬프트는 프롬프트에 자사 기업명이나 제품명이 포함된 프롬프트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블루닷 인텔리전스의 GEO 측면에서 강점은 무엇인가요?'가 여기에 해당하는 유형입니다. 프롬프트 안에 '블루닷 인텔리전스'라는 자사 제품명이 포함돼 있는 프롬프트 유형이죠. 브랜드 없음 프롬프트는 '국내 최고의 GEO 솔루션은 무엇인가요?'가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합니다. 말 그대로 프롬프트에 브랜드나 제품명이 포함돼 있지 않은 프롬프트 유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저희가 데이터를 꾸준하게 분석해 본 결과 브랜드 포함 프롬프트와 브랜드 없음 프롬프트의 핵심 인용 출처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AI 검색마다 저마다의 출처 발견 방식이 다르긴 하지만, 공통적인 패턴이 있다면 브랜드가 포함된 프롬프트의 경우 해당 브랜드 웹사이트를 가장 먼저 인용하려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입니다. 그건 해당 질문에 가장 신뢰 높은 출처를 가져오기 위한 자연스러운 접근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AI 검색에서 기업의 경쟁력은 브랜드 포함 프롬프트에서 나오지 않습니다. 브랜드 없음 프롬프트에서 자사 브랜드나 제품이 자주 언급되고 자사 웹사이트를 자주 인용할 때, 비로서 경쟁력을 갖췄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브랜드 없은 프롬프트에서 균질적으로 높은 확률로 해당 기업의 브랜드명이나 제품이 거론될 때 향후 구매 전환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블루닷 인텔리전스의 사례로 본 프롬프트 유형별 결과
그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블루닷 인텔리전스의 데이터를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아래는 블루닷 인텔리전스의 브랜드가 포함된 프롬프트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출처 순위입니다. 블루닷 인텔리전스 사이트가 가장 높은 위치에 올라있습니다. 심지어 인용 점유율도 28.38% 이를 만큼 압도적입니다. AI 검색별로 구분해서 분석하더라도 이러한 경향이 바뀌지는 않습니다.

이번에는 브랜드 없음 프롬프트의 인용 출처 순위를 살펴보겠습니다. 아래처럼, 블루닷 인텔리전스 사이트의 순위는 2위로 내려갑니다. 인용 점유율은 5.35%에 불과합니다. 1위 자리는 브런치가 차지합니다. 사실 AI 검색들은 브랜드 없음 프롬프트에서 UGC 콘텐츠를 인용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미국에선 최근까지 레딧이 인기를 끌었습니다. (참고로 레딧 인용 점유율은 최근 계속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브랜드 없음(Unbranded) 프롬프트 관리가 왜 중요한가
브랜드 없음 프롬프트나 브랜드 포함 프롬프트나 둘 유형 모두의 결과를 관리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제 고객들은 AI 검색 플랫폼에서 하나의 질문만 하고 중단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Unbranded Prompt -> Branded Prompt로 계속 구체화하면서 얻고자 하는 결과물을 탐색해갑니다. 그것이 AI 검색에서 나타나는 사용자들의 일반적인 구매 및 탐색 여정입니다.
아래에 한번 정리를 해봤는데요. 이전에는 인지 단계의 플랫폼과 탐색 및 구매 플랫폼이 분리돼 있어서, 서로 다른 퍼널 전략을 취하고 관리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AI 검색 시대엔, 그 여정이 AI 검색 하나에서 통합돼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따라서 인지와 발견, 비교, 구매에 이르는 모든 여정에 대한 AI 검색최적화 관리가 무척 중요해졌습니다.
특히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기업의 경우, 브랜드 없음 프롬프트에서 자사 제품이나 브랜드가 노출되는지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노출되지 않고 있다면 당장 액션을 취해야 하고, 그것이 반영되도록 다양한 AI검색최적화 기법을 동원해야 합니다. 잠재 고객에게 발견되지 않으면, 고객들은 '브랜드 포함' 프롬프트를 입력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서입니다. 예를 들어 '가성비 높은 러닝화를 추천해줘'라는 질문에 여러분의 브랜드가 언급되지 않고 있다면, 잠재 고객들은 더이상 '{브랜드} 제품은 다른 제품과 비교했을 때 무엇이 장점인가요?'와 같은 질문으로 진입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브랜드 없음 프롬프트에 자사 브랜드나 제품이 인용되록 하는 방법은?
웹사이트나 기업 블로그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고객들이 궁금해하는 질문에 답변하는 콘텐츠를 수시로 작성하고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FAQ가 될 겁니다. 그리고 브랜드나 장점을 어필하고 차별점을 강조해야 합니다.
여러 고객들을 만나 보면, 제품을 위한 브랜드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지만, 그 안에는 잠재 고객들이 궁금해 할 만한 콘텐츠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렇다고 브랜드를 위한 블로그를 운영하는 곳도 많지 않았습니다. 그마저도 대부분이 이미지로만 뒤범벅되어 있어서 AI 크롤러가 가져갈 만한 정보가 많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AI 검색이 잠재 고객의 질문에 응답할 만한 소스를 찾지 못하고 다른 곳으로 떠나버리는 거죠.
AI검색최적화의 절반 이상은 '콘텐츠 생산'입니다. AI 검색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가서 신뢰도 높은 콘텐츠를 발견한 뒤 신뢰도 높은 답변을 생성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려면 AI 검색 크롤러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높은 품질의 콘텐츠가 어딘가에 존재해야 합니다. 기업 입장에선 그 귀착점이 자사 사이트가 되길 원합니다. 그래야 가장 믿을 만한 정보를 고객들에게 에이전트를 통해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직 준비가 많이 되지 않은 듯합니다. 웹사이트나 쇼핑몰은 크롤러 친화적이지 않습니다. 에이전트 친화성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블루닷 인텔리전스는 바로 이러한 고충을 겪는 커머스 기업들을 도와드리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AI 검색에서 우리 브랜드의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려면 브랜드 포함 프롬프트와 브랜드 없음 프롬프트의 적절한 균형을 통해서 답변 데이터를 수집해야 합니다. 둘의 명확한 구분을 통해 어느 영역에서 취약점이 존재하는지 정확히 알아낼 수 있어야 합니다. 프롬프트의 유형은 선호 출처 인용에 높은 영향을 미칩니다. 이 걸 이해해야만 정확한 측정과 분석, 모니터링, 액션 전략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부디 즐거운 최적화 작업이 되길 바랍니다.
 
         
            
     
     
            
          ![[블루닷 인텔리전스] 대시보드에 '가시성-인용 갭' 지표가 추가됩니다](https://cdn.media.bluedot.so/bluedot.mediasphere/2025/09/qqqx2g_202509260918.jpeg) 
            
          